본문 바로가기
ETC

속발음, 속독

by FlowTree 2022. 6. 17.
반응형

유튜브 보다가 우연히 독서 방법을 알게 되는데, 유튜브 제목이 어그로 잘 끌었음

 

#짐퀵의 독서 방법

https://youtu.be/zU5aSn1oxjc

 

그래서 속발음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독서할 때 좀 더 집중력있게 빨리 이해하면서 읽고 싶어서 속으로 숫자 세면서 독서해보고 있다. 그렇게 하니까 뇌가 움직이는 느낌도 들고 활성화되는 느낌?? 계속 연습해보면 이해력과 집중력이 좋아지지 않을까?

 

아무튼  속발음에 대해서 영상을 봤더니 속독에 대한 영상이 나왔고 속독하는 거보니까 나 약간 속독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집중력이 좀 부족할 뿐이지. 

 

글을 읽을 때 단어 하나 하나에 집중하기 보다는 시야를 좀 넓게 잡아서 구 형태로 본다. 절까지 보는 건 좀 어렵고 기니까 

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쳐진 구는 보기가 편하고 또 주어, 목적어 이런 식으로 나눠서 읽음.

 

게임 기획서 예전에 써서 그런가? 읽는 사람이 오해 안하고 이해할 수 있게 작성해야 해서  주어 생략 안하고, 목적어 잘 써야하고 같은 정보 중복 체크, 정보 압축 등 문장 구조와 정보 구조화, 쉬운 이해를 위한 정보 전달에 신경 썼었는데 그거의 영향인가?(물론 기획서가 길어지면 수정 수정 수정하다가 오타를 미쳐 못 찾을 때도 있지만)

 

또, 유튜브 볼 때 머릿속에 저장한다는 느낌보다 그냥 재미용으로 정보 흘리면서 보는 영상 + 많은 시간 안에서 내가 원하는 정보 찾기용 영상들은 1.5배에서 2배속으로 해놓고 본다. 보통 발음을 잘 듣고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빠르기로 함, 최소 1.5배 자막있으면 보통 1.5~2배속으로 봄. 머릿속에 넣고 싶은 것들 + 이해하고 싶은 것들은 1배속으로 다 봄(역사, 정보 등)

 

이것도 영향이 있을까?

 

#속독 영상

https://youtu.be/R_rdvifwBZ0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자료 사이트 KOCW  (0) 2022.06.17
메모 방법  (0) 2022.04.28
도트 찍기 프로그램  (0) 2021.11.25
블루아카이브 공략+여러 정보 사이트  (0) 2021.11.25
팟플레이어로 동영상 gif 생성하기  (0) 2020.07.29

댓글